반응형 전체 글118 SLIT2 식세포를 활용하여 항섬유화 유방암 전이 억제 방법 최근 연구결과를 통해 종양과 관련한 대식세포는 본질적인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 상당히 이질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항종양인자라 할 수 있는 M1TAM과 유방 종양의 기질 요소 중의 하나인 부분에 대해 연구가 수반되었습니다. TAM은 구조적 주요 요소 중의 하나로 식세포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함께 종양의 섬유증을 증가시킴으로서 전이가 더 잘 일어나게끔 하는 문제 유발 인자입니다. 따라서 이를 적절한 수준에서 조절하는 것은 유방암의 진행을 막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SLIT2 식세포는 자가 종양모델에서 생체 내의 성장과 함께 암의 전이를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키워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식균작용이 암의 전이를 어느정도 감쇄시킬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많은 .. 2021. 8. 19. 지질 운반체의 존재 여부에 따른 암의 발생 기전 차이점 암의 발병과정에 있어서 면역 억제를 하는 메카니즘을 밝혀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의 면역 요법에 대해서는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항암치료 실패라는 비극을 맞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연구를 통해 대식세포에서 유래된 면역 조절 인자가 이러한 과정을 중단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알려졌습니다. 따라서 대식세포 유래 아포지단백질을 이용하여 종양세포가 주로 발산하는 NF-B 측분비 방식을 활용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해당 면역 체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물론 면역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케모카인의 발현을 유도하여 암의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이렇듯 새로운 면역 요법 접근 방식이 추가될 수록 암을 정복할 수 있는 .. 2021. 8. 19. MCF10 모델을 활용한 유방 종양 진행 모델링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알려지며 많은 연구자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MCF10 모델을 통해서 어떻게 유방암의 진행 현황에 대해 모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알고리즘은 사실 이번에 처음 등장한 것은 아닙니다. 이미 1990년대에 MCF10 세포주를 이용해 유방암 연구 커뮤니티를 조성하고자하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이 이후로 많은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었으며 정상적인 유방 상피세포 표현형을 조절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어 왔습니다. 이후 악성 종양으로 변하는 동안 점진적으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 지를 파악하여 유방암의 발병기전에 대해 연구가 심화되어 왔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모델링을 통해 자발적으로 불멸화 과정이 이뤄진 상피세포에 대한 리모델링 방법에 대해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2021. 8. 19. 순환계 이상으로 인한 사망 판정을 받은 아동의 자발적 호흡 복귀 가능성 최근 발표한 한 연구에서는 저산소증과 허혈성 뇌 손상으로 인해 순환계 사망이 판정된 한 아동의 자발적 호흡 복귀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해당 아동은 절차를 거쳐 장기 기증이 될 예정이었는데, 이를 위해 연명치료를 중단하자 기적과도 같은 일이 발생한 것 입니다. 2살 아동으로 자발 호흡의 가능성이 확인되는 즉시 장기기증 절차는 취소되고 집중적인 치료 프로세스를 통해 상황을 개선하였습니다. 해당 아동은 관록있는 소아과 연구진과 함께 중환자 진료 익스퍼트의 세심한 관찰을 통해 건강이 복구되었습니다. 특히 대퇴부 동맥을 통한 카테터를 활용하여 심전도와 맥박 등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되었습니다. 약 2분 이상 지속된 호흡의 복귀는 순환계가 정지한 후 발생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순환정지된 아동은 연명치료.. 2021. 8. 18.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0 다음 반응형